'뉴스스크랩'에 해당되는 글 33건

  1. 2014.05.17 [버핏따라하기] 젖은 눈덩이 만드는 법
뉴스스크랩2014. 5. 17. 18:58
[모델포트 주간마감] 누적 수익률 57.5%..코스피 대비 '53%p'↑ [새내기 포트] 6종목 선정..현금 70%내외로 시작 화진, 사상 최고가..누적 수익률 28% [버핏따라하기] 젖은 눈덩이 만드는 법 이민주 08.08/25 16:21 조회 7149 누적점수: 510 저는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에서 성과를 내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두가지만 꼽는다면 첫째, 좋 은 종목을 고르기가 쉽지 않고, 둘째, 종자돈(투자 원금)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 다. 그리고 앞의 글에서 첫번째 문제 - 좋은 종목 고르기가 쉽지 않은 것 - 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단 순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에 집중할 것을 권했습니다. 앞으로 이것 말고도 좋은 종목 고르는 방법 몇가지를 더 말씀 드릴까 합니다. 이 글에서는 좋은 종목 고르는 법 이야기를 잠시 건너 뛰고 종자돈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종자돈 문제는 주식 투자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변수의 하나인데도 의외로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게 얼마나 중요한지는 간단한 계산을 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워렌 버핏이 최근 펴낸 자서전의 제목이 <눈덩이>(snowball)네요. 버핏은 “눈사람을 만들기 위해서는 눈덩이 (종자돈)가 있어야 한다. 기왕이면 젖은 눈덩이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에서 25%의 연수익률을 기록해온 올해 나이 35세의 어느 투자자가 45세가 됐을 때 주식 투자 로 10억원을 만들고 은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합시다. 이 투자자는 지금 얼마의 종자돈으로 시작해 야 할까요. 계산을 해보면 약 1억원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1,000,000,000 / (1+ 0.25)^10 = 107,374,182) 다시 말해 투자 실력이 상당한 투자자라도 10억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1억원을 갖고 있어야 한다 는 뜻입니다.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 버거운 금액이네요. 현실적으로 개인 투자자가 마련할 수 있는 종자돈은 어느 정도일까요. 1,000만~5,000만원일텐데 이 경 우 10년 후 손에 쥐게 되는 금액은 9,300만~4억 6,500만원입니다. (연수익률 25%를 가정했을 경우입니 다). 계산을 해보면 종자돈이 적어질수록 10년 후 손에 쥐게 되는 금액이 급격하게 떨어지는데, 이는 종 자돈이 적을수록 복리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결국 개인 투자자가 투자 실력이 뛰어나더라도 어느 정도의 종자돈이 마련되지 않으면 목돈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이 종자돈을 만들기는 쉽지 않습니다. 1년만에 종자돈 1,000만원을 만들려면 83만원씩 저축해야 합니다. 한달에 83만원씩 저축하는 것, 솔직히 쉽지 않습니다. 또 1년에 5,000만원을 만들려면 매달 꼬박 417만원씩 저축해야 합니다. 이건 어지간히 돈을 많이 버는 월급쟁이가 아니고서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실제로 주변을 둘러보면 가끔씩 투자 지식이 탁월한 개인 투자자를 접하게 되는데, 종자돈 문제로 고민 하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이 분들은 부채의 유혹에 빠지는 것을 보게 됩니다. 쉽게 말해 돈 을 빌려 주식 투자에 나서는 것이지요. 이 경우 리스크가 아주 높아집니다. 종자돈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이는 개인 투자자의 여건과 환경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일반 화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돈 관리를 소홀히 해온 분이라면 더 절약할 수도 있을 테고, 직장 업무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분이라면 부업을 하는 것도 방법일 것입니다. 확실한 것은 종자돈 문제를 확실히 해두지 않고 주식 투자로 큰 돈을 만지기를 기대한다면 률이 극히 낮다는 것입니다. 주식 시장은 언뜻 무질서하게 보이면서도 실은 확률과 통계의 원칙이 철저 하게 지켜지는 곳입니다. 주식 시장을 둘러보면 적은 돈으로도 일확천금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을 자주 접하는데, 이런 생각을 가진 분이라면 통계와 확률의 원리를 생각해봤으면 합니다. 어떤가요. 암담한가요. 한가지 희망적인 소식이 있습니다. 내년 2월 시행되는 자본시장통합법은 투자유한회사, 투자합자회사, 투자조합, 투자익명조합 같은 미국 식 투자 파트너십(partnership, 개인과 법인의 중간단계) 설립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뜻이 맞는 개인 투자자들끼리 투자 파트너십을 만들어 투자 수익을 내고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는 뜻입 니다. 여기에 발맞춰 재정경제부도 관련법을 개정해 내년초부터는 파트너십의 소득에 대해 법인세를 물 리지 않는 방안을 시행 예고한 상태입니다. 현재 국내 세법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체를 개인과 법인으로만 구분하고 중간 단계인 파트너십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이 때문에 파트너십 형태의 기업은 법인으로 분류돼 이익이 생기면 법인세를 내 고, 파트너 개인은 다시 배당 소득세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이 해결되는 내년 초부터는 개인 투자 자들끼리 파트너십을 만들어 십시일반으로 돈을 모아 제법 큼직한 젖은 눈덩이(종자돈)를 만들수 있을 겁니다. 실은 이게 버핏이 초기에 투자 인생을 시작했던 방식입니다. 알다시피 버핏은 1956년 당시 스물여섯의 나이에 오마하의 지역 유지 7명으로부터 모두 10만 5,000달러를 투자 받고, 여기에 자기 돈 100달러를 보태 버핏 어소시에츠라는 파트너십을 만듭니다. 전설의 투자 인생의 출발점이지요. 버핏은 굳이 다른 사람의 돈을 모아 투자에 나선 이유는 종자돈의 원리를 알고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LLC(Limited Liability Company)라는 형태의 파트너십이 세제 혜택 등으로 광범위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 다. 10년 후, 20년 후쯤에는 한국에서도 워렌 버핏처럼 뛰어난 투자 성과를 내는 개인 투자자가 탄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지금까지는 워렌 버핏에 못지 않은 투자능력이 있더라도 종자돈 문제에 걸려 빛을 보지 못했던 현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그러고 보니 자본시장통합법이 개인 투자자에 게도 남의 일은 아니네요. 한국의 워렌 버핏이 탄생하기를 기대해봅니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프린트 이메일 블로그 담기(0명) 점수주기(6명) [동원산업]바닥이 확인됐습니다 05/19 [엔씨소프트]1분기 실적은 리니지 매출 감소로 컨센서스 하회 05/16 [엔씨소프트]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1분기 실적 발표 05/16 05/16 [엔씨소프트]1Q14 실적 발표 05/16 [오리온]중국 성장세, 저점 통과 중 (댓글 9개) coool | 08.08/26 10:15 이해가 안가네요 어차피 파트너십을 하던 자기돈의 비율이 적음 결과는 자기 돈으로만 투자하나 마찬가지 아닐까요? 물론 1주당 천만원짜리 주식에 투자한다면 이야기가 기회비용이란 측면에서 살짝 달라질수있겠지만.. 이해좀 시켜주세요 연못고래 | 08.08/26 15:28 집합투자(pooling)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물론 자통법에서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진일보한 측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에게는 그림의 떡 아닐까요? 전문투자자(기관, 상장법 인 등)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할 때 최소 20억, 돈 많은 개인이나 일반법인을 대상으로 파트너십을 만들경우에는 더 엄격해 40억 이상의 자본금이 모여야 합법적 운용이 가능합니다. 불과 몇억원의 종자돈도 마련하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개인투자자가 파트너십이 법제화된다고 그 많은 돈을 쉽게 모으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넌센스라고 봅니다. 아무리 금융지식이 많고 이런 가치투자 싸이트에 포트폴리오를 공개해 자기 레코드를 수년간 치밀히 관리해왔더라도 지난 5년간이 대호황장을 감 안한다면 펀딩이 절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주식투자 성공의 요체인 종자돈에 대한 선생님의 지적 은 전적으로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다만 자통법의 세부 내용을 보면 까다로운 진입요건이 있다는 것을 간과하신 것은 아닌가해서 글을 올렸습니다. cronos | 08.08/26 16:07 자격요건은 전혀 없는 것인가요? 아무리 지인이라 하더라도, 타인의 돈을 운영하는 것인데, 자격증을 통한 규제도 있을 것 같은데요... 혹 필요한 자격증이 있다면 좀 알려주십시오.많이 늦었지만, 준비해 보려고 합니다. 버핏연구가 | 08.08/26 16:52 우리가 알고 있는 가치투자의 대가들은 전부 개인계좌로 투자한게 아니라 투자조합, 투자회사, 펀 드 형식으로 투자를 했습니다. 벤저민 그레이엄(그레이엄-뉴먼 투자회사), 워렌 버핏(버핏 투자조 합), 찰스 멍거(이름이 정확히 생각나지 않는데 멍거도 투자회사를 운영했었습니다), 월터 슐로스 (슐로스 합자회사), 빌 루앙(시쿼이어 펀드), 필립 피셔(잘 모르지만 피셔도 투자회사를 운영한 것 으로 알고 있습니다), 피터 린치(마젤란 펀드) 등등. 버핏 투자조합에서 버핏은 무한책임사원 (general partner)으로서 투자조합을 운영하고 6%를 배당으로 지급하고 6%를 초과하는 수익의 25%를 수수료로 가져갔죠. 나머지는 유한책임사원(limited partner) 이고요. 이 방법으로 버핏은 31살 젊은 나이에 백만장자가 되었습니다. 1969년 투자조합을 해산할 때는 2500만 달러의 순자 산을 갖게 되었죠. 물론 투자조합을 운영하려면 그만한 자질을 갖춰야 하겠죠. 버핏연구가 | 08.08/26 17:02 버핏이 버핏 투자조합 시절 조합원들에게 보낸 편지를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펀드로 큰 돈을 만들 어 투자하면 경영권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것은 투자한 회사의 가치를 적극적으 로 실현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큰 돈이 있을 때 유리한 투자기회를 큰 돈이 없을 때는 이 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큰 돈을 갖고 투자할 때 얻게 되는 장점입니다. 버핏은 최근 주주총회에서 종종 100만 달러로 투자를 다시 시작하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을 받는데 100만 달 러는 기업을 인수하기에는 적은 금액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이것으로 봐도 버핏이 100만 달러보다 더 큰 돈으로 다시 투자를 시작한다면 역시 경영권을 인수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버핏연구가 | 08.08/26 17:23 물론 모든 사람이 다 자기 파트너십을 만들어 투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사회 전체적으로 봐도 생산적인 활동도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버핏은 종종 비전문가에게 인덱스 펀드에 투자할 것을 권합니다. 인덱스 펀드에 한꺼번에 자금을 집어넣지 않고 나눠서 투입한다면 한번에 자금을 투입 한 90%의 투자자들을 앞지를 것이라고 버핏은 말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기회가 많 은 시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덱스 펀드보다 좋은 투자기회가 아직은 많다고 생각 합니다. 혜숙이아빠 | 08.09/13 00:55 열명이 천만원씩 1억을 모아 10년을 굴려 10억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10명이 다시 나누어 갖는다 면 어차피 각자 손에 떨어지는 것은 1억입니다. 종자돈의 크기와 수익률 크기는 아무 관계가 없지 않나요? 꿀밤 | 12.07/23 22:14 버핏은 투자회사를 차려 자기돈 외의 투자자들의 돈을 자기가 투자해서 수익을 내면 적정률의 수수료를 받아 챙겻죠....그래서 투자자들은 조그만 부자가되고 버핏은 세계 제일의 부자가 된겁니다.ᄒᄒ xnote | 08.09/21 13:33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을 쉽게 말하면 양이 모이면 질로 변화된다라는 물리학 법칙과도 상통합니 다. 즉 물질은 어떤 일정수준의 온도로 올라가면 형태가 변화합니다. 즉 열에너지가 모이면 물질 의 성질 자체가 바뀌어 버립니다. 또한 적은 양의 마약은 치료제가 됩니다. 하지만 일정수준의 마 약은 중독을 일으켜 신체에 독이 됩니다. 이렇듯 종자돈도 일정정도의 크기가 되어야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천만원을 가진 사람과 1억을 가진 사람은 은행에 가봐도 대우부 터가 달라지죠. 즉 은행입장에서는 천만원을 가진 사람보다 1억을 가진 사람에게 투자정보를 더 줄 것입니다. 또한 금리도 우대해주겠죠. 또한 최고 몇십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선물투 자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경우 최소금액은 1500만원입니다. 1500만원이 없으면 선물투자를 할 수 없죠. 개발 호재가 있어 집을 사려고 해도 1000만원가지도는 어렵겠지요. 즉 돈이 모이면 투자 대상이 늘어나게 되고 그많은 기회도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임중연 | 09.03/20 17:36 임중연 종잣돈이 있고 종목선정의 안목이 있다면 주식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요? 물론 기본요소이겠지만,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사항은 따로 있지요~ 바로 통제력!!! 술, 담배, 도박을 과감히 영구히 끊을 수 있는 참을성!!! 매수/매도 목표가까지 끈덕지게 기다릴 수 있는 여유와 자신감!!! 그게 바로 투자성 공의 토대라고 보여집니다~~~ 노진욱 내용을 입력해 주세요... * HTML 태그 등은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Posted by THE GREAT INVESTOR